본문 바로가기
애니 리뷰

더 퍼스트 슬램덩크

by 블린블링 2023. 3. 12.
반응형

더 퍼스트 슬램덩크
더 퍼스트 슬램덩크

송태섭의 성장스토리

영화의 시작은 송태섭의 어린 시절부터 시작됩니다. 송태섭은 북산 고등학교 농구부의 포인트 가드를 맡고 있고 돌격대장이라는 별명을 지닌 선수로 원작에 없는 어린 시절이 자세하게 그려집니다. 어린 시절부터 친형인 송준섭과 농구를 좋아하며 의지하고 지내지만 아빠가 병으로 죽게 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친형도 친구들과 낚시를 떠났다가 갑자기 죽게 됩니다.

 

극 중의 배경은 전국대회에 진출한 뒤 산왕공고와 대결하던 32강전의 시점으로 가고 송태섭의 과거 이야기와 산왕공고와의 경기가 장면이 교차되면서 이야기가 진행됩니다. 형이 죽고 나서 같이 농구할 사람이 없어진 태섭은 죽은 형과 비교당하며 더욱 입을 닫은 채 묵묵하게 살아갑니다. 송태섭의 엄마는 몇 년 사이에 남편과 의지하던 큰아들을 잃어 마음이 아픈 나머지 큰아들의 농구 경기 녹화 영상만 보는 일만 반복합니다. 형의 뒤를 이어 등번호 7번을 달고 중학교 때부터 농구선수로 활약하지만 학교관계자와 엄마에게도 형만큼 인정받지 못하고 선수생활을 끝내게 되고 다른 학교로 전학 가게 됩니다. 그리고 전학 간 학교에서 정대만과 우연히 만나게 되고 그 이후에 북산 고등학교에서 농구부에 들어갔으나 제대로 사랑을 받지 못하고 자란 송태섭은 채치수가 눈여겨보는 선수라는 이유로 정대만 패거리가 시비를 걸어 싸움을 하거나 오토바이를 타다가 의식을 잃기도 합니다. 병원에서. 깨어난 송태섭은 엄마와 여동생에게 문득 고향인 오키나와에 가보고 싶다고 하고 형이 만들었던 비밀 아지트에서 형의 꿈이었던 '타도 산왕'이라고 적힌 월간 농구 매거진을 발견합니다. 이후 송태섭은 북산 농구부로 돌아가 채치수가 주장이 돼서 이끌고 있는 팀으로 가서 채치수를 도와 전국제패의 꿈을 이루려고 노력합니다.

 

다시 산왕과의 경기로 돌아와 산왕전 후반에 팀원들이 모여 구호를 외치는데 보통은 주장이 구호를 외치지만 채치수는 팀원을 독려하는 태섭을 보고 구호를 몸짓하며 하도록 합니다. 누군가를 대신해서가 아니라 참다운 자신이 되어야 차기 주장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은 태섭은 크게 구호를 외치면서 당당하게 주장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송태섭은 경기 전날 자신, 그리고 형의 생일을 맞아 케이크를 먹다가 형의 이야기가 나와서 가족과 서먹한 분위기가 되고 이후 열일곱 번째 생일을 축하하는 엄마에게 마음을 전달하는 편지를 밤새 쓴 뒤 산왕과의 경기가 있는 히로시마현으로 향합니다. 엄마는 아침에 아들의 편지를 읽고 산왕전이 치러지고 있는 히로시마현에 몰래 찾아와 아들의 경기를 봅니다. 아들이 산왕전에서 활약하며 형의 꿈을 이뤄주고 있는 모습을 보며 형의 빈자리를 채웠을 정도로 많이 성장했음을 깨닫게 됩니다. 이후. 엄마는 산왕전에서 승리하고 온 태섭과 화해의 제스처를 하고 태섭도 받아들여 형의 손목밴드를 엄마에게 건네줍니다.

 

이후 송태섭이 미국진출 이후 경기가 나오면서 영화는 마무리됩니다..

 

엔딩 이후 쿠키 영상에서는 송태섭의 엄마가 송준섭의 사진과 태섭에게 건네받은 손목밴드를 식탁 위에 올려두면서 다시 기억하려고 하며 끝이 납니다.

 

 

 

전국제패를 꿈꾸는 북산고 농구부

전국 제패를 꿈꾸는 북산고 농구부 5인방의 꿈과 열정, 멈추지 않는 도전을 그린 영화로 더 퍼스트 슬램덩크는 2022123일에 개봉한 일본 영화입니다. 한국에서는 202314일 개봉하면서 슬램덩크의 신 극장판으로 슬램덩크의 원작자 이노우에 다케히코가 감독과 각본을 맡고 도에이 애니메이션과 단델리온 애니메이션 스튜디오가 제작하였습니다. 러닝 타임은 125분으로 애니메이션으로 12세 이상 관람가 등급으로 개봉했습니다.

 

원작 최종 상대인 산왕공고 와의 32강전을 영상화한 극장판으로 큰 틀은 원작과 같지만 세부적으로는 다른 연출과 스토리텔링을 사용하여 주인공들의 심리적인 상태를 표현했습니다.

 

원작에서는 별다른 이야기가 없었던 송태섭이 주인공으로 그의 과거 이야기부터 중심으로 북산 선수들의 과거까지 경기 중 회상하는 장면으로 연출하면서 원작과는 같으면서도 원작에서는 보지 못했던 장면들이 세부적으로 표현되었습니다.

 

원작의 마지막이었던 산왕공고와의 대결은 강백호와 송태섭의 활약과 서태웅과 정우성의 에이스 대결, 강백호의 등부상 투혼, 북산이 계속 밀리는 과정에서 불굴의 투지로 산왕을 이기는 장면으로 만화책으로 읽었던 장면이 3D처럼 눈앞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모습으로 예전의 감흥이 살아나게 만들었습니다. 빠른 속도감과 스토리 텔링이 적절하게 잘 표현된 작품입니다.

 

 

 

북산고 농구부 5인방

주요 인물의 성우로는 송태섭 (미야기 료타)은 일본은 나카무라 슈고 한국은 엄상현, 강백호(사쿠라기 하나미치)는 일본은 키무라 스바루 한국은 강수진, 채치수(아카기 타케노리)는 일본은 미야케 켄타 한국은 최낙윤, 서태웅(루카와 카에데)은 일본은 카미오 신이치로 한국은 신용우, 정대만(미츠이 히사시)은 일본은 카사마 쥰 한국은 장민혁이 맡았습니다.

 

실제로 원작에서는 이 5명이 주인공이지만 강백호라는 농구부에 온 지 얼마 안 되는 인물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 나갔지만 이 이야기를 중심에 두고 송태섭의 어린 시절 이야기와 가족이야기로 원작과는 시점이 다르게 진행합니다. 중간에 5명의 인물들 하나씩 감정의 변화에 따라 다른 주인공들의 성장 내용이 추가되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송태섭의 성장에 중심을 둡니다.

 

반응형

'애니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탐정 코난 베이커가의 망령  (0) 2023.03.18
벼랑 위의 포뇨  (0) 2023.03.16
하울의 움직이는 성  (0) 2023.03.13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0) 2023.03.12
너의 이름은  (0) 2023.03.12